본문 바로가기

728x90
반응형

BackEnd

[Oracle SQL] SQL 초보 탈출! 오라클 DELETE로 데이터 삭제하는 법 DELETE는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문법이에요.  잘못 쓰면 데이터가 통째로 날아갈 수 있으니 꼭! 조심해서 사용해야 해요. ✅ 기본 문법DELETE FROM 테이블명WHERE 조건;WHERE 조건을 만족하는 "행(row)"만 삭제됩니다.WHERE를 생략하면 테이블 전체 데이터가 삭제되니 주의‼️ ✅ 예제 1: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행 삭제 DELETE FROM employeesWHERE department_id = 50; 부서번호가 50번인 직원들만 삭제됩니다.  ✅ 예제 2: 전체 데이터 삭제 (주의!!) DELETE FROM employees;employees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합니다. (⚠️ 롤백 안 하면 영구 삭제)💡 이 경우 TRUNCATE와의 차이도 중요합니다. .. 더보기
[Oracle SQL] SQL 초보 탈출! 오라클 SELECT로 데이터 조회하는 법 SELECT 문은 오라클 SQL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가장 기본이자 핵심적인 문장이에요. 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봅시다~ ✅ 기본 문법SELECT 컬럼1, 컬럼2, ...FROM 테이블명WHERE 조건ORDER BY 정렬기준;SELECT: 조회할 컬럼 지정FROM: 어떤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올지 지정WHERE: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조회 (옵션)ORDER BY: 조건에 맞게 정렬 ✅ 예제 1: 전체 조회 SELECT * FROM employees;employees 테이블의 모든 컬럼, 모든 행을 조회*는 모든 컬럼을 의미 ✅ 예제 2: 특정 컬럼만 조회SELECT first_name, last_name FROM employees;employees 테이블에서 이름과 성만 조회 ✅ 예제 3: .. 더보기
[Oracle SQL] SQL 초보 탈출! 오라클 INSERT로 데이터 입력하는 법 오라클에서 테이블의 값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INSERT 문! 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봅시다~  ✅ 기본 문법 (단일 행 삽입)INSERT INTO 테이블명 (컬럼1, 컬럼2, ...)VALUES (값1, 값2, ...);컬럼 순서와 값 순서를 일치시켜야 해요.생략 가능한 컬럼(예: 자동 증가, DEFAULT 값)은 생략해도 돼요. ✅ 예제INSERT INTO employees (employee_id, first_name, last_name, hire_date, department_id)VALUES (207, 'Minji', 'Kim', SYSDATE, 50);employees 테이블에 새로운 직원을 한 명 추가하는 예제예요.SYSDATE는 현재 날짜를 의미해요. ✅ 컬럼명 생략 (단, 모든 컬럼 순.. 더보기
[Oracle SQL] SQL 초보 탈출! 오라클 UPDATE로 데이터 수정하는 법 오라클에서 테이블의 값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UPDATE 문! 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봅시다~   ✅ 기본 문법 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1 = 값1, 컬럼2 = 값2, ... WHERE 조건; ▶ SET 뒤에 수정할 컬럼과 새로운 값을 지정해요.▶ WHERE 조건은 수정할 행을 선택하는 데 사용돼요. 생략하면 테이블 전체가 수정되니 주의하세요!  UPDATE 문은 시스템 운영 시 자주 사용하므로 다양한 방법을 익혀두시면 좋아요!  ✅ 간단한 예제UPDATE employees SET salary = salary * 1.1 WHERE department_id = 10; ▶ employees 테이블에서 department_id가 10인 직원들의 급여를 10% 인상하는 예제예요. .. 더보기
[java] 약수의 개수 구하는 알고리즘 알고리즘 문제 풀이 중 약수의 개수를 구하는 예제가 있었음. 예를 들어)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판별하여 값을 더하거나 빼시오. 제가 생각한 약수의 개수가 짝/홀수인지 판별하는 방법은 1. 숫자를 제곱근으로 나눈다.2. 제곱근이 실수가 아닌 정수로 딱 맞아 떨어지는지 판별한다. 여기서 제곱근이 정수로 딱 맞아 떨어지면 다시 제곱을 하면 원래의 수가 나타나기 때문에 약수의 개수가 홀수,아니라면 짝수가 나타난다고 판별했음. 예시1) 14 : 1, 2, 7, 14 → 약수 : 4개, 제곱근 : 3.xxx예시2) 16 : 1, 2, 4, 8, 16 → 약수 : 5개, 제곱근 : 4 ◎ 코드 구현 for(int i=시작 숫자; i※ 메소드 설명1. Math.sqrt() : double 형태, 제곱근을 나.. 더보기
[java] 배열을 문자열로 합치는 방법 문제를 풀이하던 도중 배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 예제가 나왔음. 문자열이라면 indexOf(), contains()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,배열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정 메소드가 없음. 따라서 두 가지 방법을 생각했음.1. 배열을 문자열로 변경 → 특정 문자 포함 여부 확인2. 배열을 List로 변경 → 특정 문자 포함 여부 확인 1번 방법으로 문제 풀이했으며, 이를 위해, 배열을 문자열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! ◎ 배열 → 문자열1. String.join() 메소드 활용 → 배열을 특정 문자로 구분해 합친 문자열 반환함. → 첫 번째 인자 : 배열을 연결할 문자, 두 번째 인자 : 문자열로 합칠 배열String[] strArr = {"A", "B", "C", "D"};Stri.. 더보기
[java] 소인수 분해 코드 구현 방법 소인수분해 : 어떤 수를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 예시) 20 = 2 * 2 * 5 여기서, 소인수는 2, 5 ◎ 소인수의 표현 방법 구상1. 지정한 변수(n)를 1보다 클때까지 반복문 설정 → n을 소인수로 나눈 후 그 값을 n에 다시 저장할 것2. 소수는 2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초기값 설정 → 소수 : 1과 자기자신만을 갖는 수3. n을 소인수로 나눈 후 n에 다시 저장하고 다시 2부터 시작해 소인수를 찾음while(n > 1){ int i = 2; while(true){ if(n % i == 0) { n /= i; break; } i++; }}​ 여기서 배열, 리스트, Set 등으로 저장하면 되고 중복되.. 더보기
[java] Set, HashSet 정렬(순서) 방법 문제 풀이를 하며 Set을 사용했을 때, 하나만 실패하였음.  ◎ 사용 예시Set set = new HashSet();set.add(i); 하나만 실패한 원인 → set은 순서가 없기 때문에 항상 add 한 순서대로 출력하지 않음 ◎  해결방법1. set -> list로 변경2. list의 정렬 방법인 Collections.sort() 메소드 사용List list = new ArrayList(set);Collections.sort(list);​ 중복을 제거하기 위해서 set을 사용했지만, 순서가 없기때문에 순서가 있는 list를 사용했음. 중복도 제거되면서 순서를 지정할 수 있는 LinkedHashSet을 사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코드 구성할 수 있을 것 같다. 더보기

728x90
반응형